영원히 오지 않을것 같았던 2022년이 왔다. 평소에 크게 관심이 없는 분야라 들었어도 자꾸만 헷갈리는 이것, 24절기는 양력일까 음력일까? 그냥 느낌상 음력인것 같았는데 실질적으로는 양력이다. 이것이 궁금해서 찾아본김에 24절기에 대해서도 알아보자.
24절기란?
24절기는 처음 농경사회때부터 태양의 황도의 위치에 따라 계절적 구분을 하기 위해 만든것이다. 24절기는 원래가 처음부터 달중심이 아닌 태양을 중심으로 만들어 졌다. 황도에서 춘분점을 기점으로 15도 간격으로 총 24개의 절기로 표기한다. 아주 오랜 옛날부터 우리 조상들은 1년을 봄, 여름, 가을, 겨울의 네 계절로 나누고 각 계절에 6개씩 절기를 나누어 농사짓는 일에 기준을 삼은것인데, 이것이 24절기 이다. 계절에 들어설 때마다 입춘, 입하, 입추, 입동으로 절기를 알리고, 각 절기에 맞춰서 씨를 뿌리고 모내기를 하고 추수를 하고 김장을 했다. 24절기를 나눈 덕분에 우리의 조상들은 1년동안 농사일을 지혜롭게 해낸것이다.
- 입춘 - 2/4일또는 5일- 봄의 시작
- 우수 - 2/28일 또는 19일 - 봄비 내리고 싹이 틈
- 경칩 - 3/5일 또는 6일 - 개구리 겨울잠에서 깨어남
- 춘분 - 3/20일 또는 21 - 낮이 길어지기 시작
- 청명 - 4/4일 또는 5일 - 봄 농사준비
- 곡우 - 4/20일 또는 21일 - 농사비가 내림
- 입하 - 5/5일 또는 6일 - 여름의 시작
- 소만 - 5/21일 또는 22일 - 본격적인 농사시작
- 망종 - 6/5일 또는 6일 - 씨 뿌리기 시작
- 하지 - 6/21일 또는 22일 - 낮이 연중 가장 긴 시기
- 소서 - 7/7일 또는 8일 - 더위의 시작
- 대서 - 7/22일 또는 23일 - 더위가 가장 심함
- 입추 - 8/7일 또는 8일 - 가을의 시작
- 처서 - 8/23일 또는 24일 - 더위 식고 일교차 큼
- 백로 - 9/7일 또는 8일 - 이슬이 내리기 시작
- 추분 - 9/23일 또는 24일 - 밤이 길어지는 시기
- 한로 - 10/8일 또는 9일 - 찬 이슬이 내리기 시작
- 상강 - 10/23일 또는 24일 - 서리가 내리기 시작
- 입동 - 11/7일 또는 8일 - 겨울 시작
- 소설 - 11/22일 또는 23일 - 얼음이 얼기 시작
- 대설 - 12/7일 또는 8일 - 겨울 큰 눈이옴
- 동지 - 12/21일 또는 22일 - 밤이 일년중 가장 긴 시기
- 소한 - 1/5일 또는 6일 - 겨울 중 가장 추운때
- 대한 - 1/20일 또는 21 - 겨울 큰 추위
24절기는 절기마다 관련 속담도있을정도로 한국 농경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절기마다 날이 춥고, 밤이 길고, 짧고 등의 날씨와 계절의 변화를 체감한다. 다음번엔 24절기 관련 속담이나 풍습에 관하여 알아보도록 하자.
'쌓일수록 좋은건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드향, 천혜향, 황금향 중 비타민 C함유량이 가장높은 귤은? (0) | 2022.01.26 |
---|---|
차세대 우주 망원경 제임스웹이 꼭 성공해야 하는 이유 (0) | 2022.01.12 |
국내 최대기업의 유의미한 선택 <메타버스> (0) | 2022.01.07 |
1월 제철음식 수산물 총정리! (0) | 2022.01.05 |
지구외 태양계에 생명체가 살수 있을까? (0) | 2022.01.05 |